박신영, 《더 플라이어블 플랜 the pliable plan[1]》 서문: 기념 혹은 기억

 

박신영, 더 플라이어블 플랜 the pliable plan[1]서문: 기념 혹은 기억

김민관

 

계획 혹은 투시도“plan”의 어원을 따르자면는 미래를 위한 현재의 투사와도 같다. 곧 불투명한 것들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명확한 언어는 현실을 유연하게 편집해야 한다. 이는 실패한 미래를 유예하며 현재에 새로움을 더한다. 구부러질 수 있는 시간은 역설적으로 단단하게 고정된다. 물론 계획은 공개되지 않을 것이므로 또는 원래 없었으므로 사후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변론할 수 있다. 곧 유연하게 계획은 편집될 수 있다. 그렇다면 추적해야 하는 (반절 정도는 유연할 수밖에 없는) 계획은 어떻게 분별될 수 있을까. 어떤 언어 혹은 이미지로써 이를 결박할 수 있을까, 또는 비켜나갈 수 있을까. 장소, 장르, 구상, 구성, 공간의 차원에서 이를 탐구해 본다면

 

하나. 장소의 이미지.

햇빛에 반짝이는 창투명한 장소가 함입하는 지팡이와 발걸음과 바퀴와 바람을 지나치며 다시금 반짝이는 어떤 사물. 기억할 수 없는, 기억으로서의 존재인 길고양이 등등.

 

. 장르에 대한 엉성한 고찰.

도자는 장식일까, 아니면 사물일까. 어떤 극단적 물음 속에서 명확한 답변 대신 묘연하게 떠오르는 이미지.

 

. 구상에 대한 엉뚱한 가설.

작가는 지나간 이미지를 붙드는가, 아니면 도래할 이미지에 의존하는가.

 

. 구성에 대한 엉망진창의 발설.

작업은 이미 검토된 물질을 재분별하는 일인가, 아니면 없어질 사물을 애도하는 일인가, 그것도 아니면 기념비적인 애칭을 만들어내는 일인가.

 

다섯. 공간에 대한 조금 더 정밀한 분석.

평평한 긴장. 평화로운 세계와 물질의 축복 사이에 놓인 공간에 머무르기. 평이하고도 은근하고 조용한 어떤 장소에 대한 방문, 그 방문을 유도하는 혹은 가능하게 하는 초청, 역으로 그 초청을 완성하는 몸의 방문. 오브젝트(object), 필드(field), 라티오(ratio)[2], 그리고 몸(body)의 관계. 또는 열린 비율(open ratio)의 세계[3].

 

⁀‿⁀‿⁀‿⁀‿⁀‿⁀‿⁀‿⁀‿⁀‿⁀‿⁀‿⁀‿⁀‿⁀‿⁀‿⁀‿⁀‿⁀‿⁀‿⁀‿⁀‿⁀‿⁀‿⁀‿⁀‿⁀‿⁀‿⁀

 

소결(小结/燒結): 신체의 기능과 의식의 명제, 감각의 지평을 엮어내기[4].

 

⁀‿⁀‿⁀‿⁀‿⁀‿⁀‿⁀‿⁀‿⁀‿⁀‿⁀‿⁀‿⁀‿⁀‿⁀‿⁀‿⁀‿⁀‿⁀‿⁀‿⁀‿⁀‿⁀‿⁀‿⁀‿⁀‿⁀‿⁀

 

여분. 이전의 것들에 관한 기술.

긴 것, 반짝이는 것, 매달린 것, 매단 것, 웅크린 것, 속삭이는 것, 움직이는 것, 움직여도 되는 것, 부착하는 것, 부착된 것, 녹는 것, 끼워진 것, 파고드는 것, 녹아내리는 것, 녹을 것, 적힌 것, 새긴 것, 구르는 것, 굴러갈 것, 벌어진 것, 벌어질 것, 거기 놓인 것, 발견되는 것, 그 모든 것들의 어떤 이름. 아니 이름 아닌 어떤 임시적 거주로서의 명명 에 다가가기, 움직이기, 숨쉬기, 이미지로 기록하기[5], 상태와 동기화되기.

 

주석(註釋/柱石)

1.

작가의 명명 혹은 구상이다. 곧 살아남은, 살아남을 제목이다.

 

2.

공동 기획자의 명명 혹은 구상이 미끄러지며 현상한 것이다. 곧 실패한 제목이다.

 

3.

오픈 라티오에 관한 성분들:

하나, 오브젝트. 주체를 사로잡는 또는 결정 짓는 대상, 취향과 전유 이전의 사물, 미학적 취미의 오브제 사이를 공진하는 어떤 것.

, 필드. 투명하고도 나보다 큰 어떤 부피를 지닌 공간과 사람들과 문화와 건물이 자리하는 지역 사이를 벗어난다고 착각하게 되는 순수하게 몸이 놓이고 개입하는 현장.

, 라티오. 상대성의 명제로서 공간과 신체, 사물의 사이에서 비로소 결정되는 (열린) 비율.

, . 두 가지 개념을 수행사로써 얼기설기 매달기. 감각을 행위로 전환하기, 인지를 신체로 변형하기, 미학을 감정으로 번역하기, 취향을 이미지로 변환하기.

 

4.

구부러질 수 있고 펼쳐질 수 있는, 곧 미리 인지되며 이후에 미끄러질 것을 축으로 두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어떤 동어반복으로서의 정의가 될 것이다.

 

5.

이미지를 신뢰한다는 것. 또는 이미지에 거주한다는 것. 이미지와 공간의 관계를 만든다는 것. 동시에 만질 수 있다는 것. 또는 들여다볼 수 있다는 것. 작가의 세계를 추정해 본다면. 작가는 이미지를 맞닥뜨린다. 이는 어떤 시작이 다시 다른 이의 현재로 옮겨 왔음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작가는 이미지와 몸 사이에 자리한다기보다 이미지에 가까운 몸이 된다.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에는 무언가가 묻어 있다. 따라서 이는 출처가 모호해지는 기억이거나 출처를 다시 쓰는 기록일 것이다.

 

 

[전시 개요]

 



작가: 박신영

전시명: 더 플라이어블 플랜 the pliable plan

 

기간: 3.7()~3.17() 12:00~18:00. 리셉션: 3.16() 18:00

장소: 응접실_인천 중구 율목로30번길, 1

 

주최/주관: 오픽

공동 기획: 박신영, 김민관

그래픽 디자인: 김보라

서문: 김민관

설치 도움: 조경재

후원: 인천문화재단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문수주의 〈은 은〉 사진 기록

안민욱 개인전, 《당신에게 드립》(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