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2의 게시물 표시

《민관의 은: 접시 Minkwan’s Silver: Plate》 작가와의 대화 정리

이미지
(사진 오른쪽) 조경재 작가.   사회를 맡은 한주옥 큐레이터 발 디딜 틈 없는 공간. 사람들로 빽빽하다. 황민규 작가. 중앙에 정재희 작가. 3월 19일(토) 오후 3시경 열린 전시 《민관의 은: 접시 Minkwan’s Silver: Plate》 부대 행사인 작가와의 대화를 정리해본다. 생각보다 성황리에 진행되었는데, 사전 예약 신청자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현장에 찾아와서 작가들은 모두 서서 토크를 진행했고, 열렬한 토론과 관객 개입도 일어나는 자리였다. 콜렉티브의 작업 과정이라 할 수 있을 정재희, 조경재, 황민규 작가의 지난 두 전시와 이번 전시의 여러 이야기와 함께, 전시 정보를 주는 윈도우의 시트지의 필요 여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서부터 일반적인 마을 안에 예술 공간이 위치할 때 정체성에 대한 고민(시민에게 어떻게 접근성을 높일 것이냐, 그것이 예술을 과잉으로 매개하는 것 아니냐 하는 질문), 그리고 예술의 의미와 재미 사이에서 결론이 나지 않을 대화가 치열하게 오갔다.  여기서 의미가 언어로의 설명될 수 있음, 또 설명해야 함을 가정한다면, 재미는 예술가가 작업 외에 매개의 언어를 고민하지 않는 것으로 대강 정리할 수 있을 듯한데, 물론 이분법적인 시각에서, 예술을 대중과 분리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예술이 제도 안에 있지만, 동시에 제도 안에서만 통용된다거나 비예술가가 예술의 언어를 인식, 감각하지 못한다고도 할 수 없으니, 단순하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닐 것이다.  다음에도 전시와 함께 여러 이야기 자리를 만드는 게 중요할 거 같은데, 한 시간으로 작가와의 대화를 설정해 둬서, 이야기꾼이 많았고, 논쟁도 더 지속될 기미가 보였는데, 아쉬움을 남긴 자리였다. 《민관의 은: 접시 Minkwan’s Silver: Plate》 작가: 정재희 @maumbulle 조경재 @kyoung_jae_cho 황민규 @hwang_minkyu 일시: 2022.3.13.‒3.27 장소: 응접실(인천 중구 율목로 30번길 1, 1층) 주최/주관: 오픽 서문: 한주옥

전시 《민관의 은: 접시 Minkwan’s Silver: Plate》

이미지
민관의 은 : 접시 Minkwan’s Silver: Plate   작가 : 정재희 @maumbulle 조경재 @kyoung_jae_cho 황민규 @hwang_minkyu   일시 : 2022.3.13. ‒ 3.27 장소 : 응접실 ( 인천 중구 율목로 30 번길 1, 1 층 )   주최 / 주관 : 오픽 서문 : 한주옥 @h_joook 디자인 : 이건정 @handgloves 후원 : 인천문화재단 점 . 점 . 점 @3point_incheon   * 작가와의 대화 일시 : 3 월 19 일 ( 토 ) 오후 3~4 시 장소 : 응접실 참여 신청 : https://forms.gle/uA2BnkdTt1RF13e6A   세 명의 작가 정재희 , 조경재 , 황민규는 장소에 대한 반응으로서 작업을 시작해 왔다 . “ 일률적이지 않은 다양한 장소적 경험이 필요하다 .” 라는 전제 아래 이들에게 장소성은 매우 중요하다 . “ 그 장소를 지나가거나 방문하는 사람들이 장소가 전하는 새로운 감각을 환기하며 자신들만의 고유한 경험과 기억을 만들길 희망 ” 하는 것이다 . 첫 번째 프로젝트 《 마사코 여사의 의심 줄 》 展 이 “ 과거 마포구 망원동의 가정 주택이었던 예술공간 의식주의 내외부를 밧줄 덩어리로 옥죄고 가로지르게 해 공간이 가진 기존의 성격을 전환하는 설치 형식의 전시 ” 였다면 , 두 번째 프로젝트 《 미니미니미니의 황금 돌 》 展 은 재개발 논의가 되던 은평구 갈현동의 공간 황금향에서 , “ 임진강 주상절리 근방에서 황금돌 , 정확히는 노란 빛이 도는 돌들을 발견하고 그 돌들로 그 주택의 반지하실에 채운 ” 프로젝트였다 . 세 번째 프로젝트 《 민관의 은 : 접시 》 展 은 삼 면이 유리이면서 모퉁이에 놓여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시선을 받는 공간 특징을 고려해 , 전시장에 수로를 만들고 그 안에서 은접시를 경유해 물이 떨어지다 두 개의 출입구로 빠져나가는 구조물을 만들었다 . 이번에는 공간을 채우기보다 공간을 줄여나가며 전시를 만들었지만 , 공

갈유라 작가의 팝업전, 《그래서 우리는 선회하기로 했다》를 마치며

이미지
   갈유라 작가의 팝업전 , 《 그래서 우리는 선회하기로 했다 》 가 무사히 종료되었습니다 . 10 년이 넘는 과정의 작업과 그 과정의 여러 아이디어 메모 등을 포함한 아카이브로 구성한 전시는 , 작가의 ' 두뇌를 열어젖힌 '( 김남수 안무비평가 ) 것 같이 작가의 사유와 작업의 불쏘시개가 되는 영감을 한데 볼 수 있는 전시였습니다 . 관람객은 관람객이라기보다 탐구자가 되어 두 시간 동안 작가의 작업을 느긋하게 그러나 다 보지 못한 채 자료 더미와 작업을 헤집는 과정을 수행합니다 . 어떤 표면이 한없이 두드러지며 그치는 게 아니라 , 그 안에 접혀 있는 생각을 통해 작가의 감각과 관점이 얼마나 다양한 형식으로 뻗어 나갈 수 있을지를 역설적으로 확인하게 하며 감탄을 부르는 전시에 가까웠습니다 . 작년부터 지난 몇 달간 느슨하게 여섯 일곱 차례 미팅을 통해 아이디어와 이야기를 나누다 다소 즉흥적으로 기획 , 실천된 이번 전시는 , 사실상 오랜 시간에 걸려 생성된 방대한 자료에 대한 정리 , 펼침에 대한 다음 과제를 수여해 주었습니다 . 그것은 매체 선택과 분류나 정렬 , 디스플레이의 방식에 대한 반성과도 연관되지만 , 그 많은 생각이 , 작업이 그 자체로 한 명의 작가 이전에 동시대라는 것 . 그렇다면 이는 어떤 한 지점에서 그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할 것이냐의 물음과도 연관될 것입니다 . 갈유라 작가의 작업을 읽는 하나의 시도로서 , ' 작가 없는 작가와의 대화 ' 가 지난 토요일 (22.03.05) 오후 4 시경 열렸습니다 . 지난 갈유라 작가의 작업 관련 원고를 쓰거나 기획을 한 분들인 곽노원 독립 큐레이터 (@k.no_one), 김민관 편집장 (@mikwa3), 김성우 큐레이터 (@kim.sung_woo), 김홍기 미술평론가 (@hongkikim77), 박성환 아마도예술공간 책임 큐레이터 (@jungsang_in), ( 가나다 순 ) 가 작가 없이 , 기록 ( 레코딩 , 촬영 , 타자 ) 없이 , 관객 없이 이야기를 나누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