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3의 게시물 표시

퍼포먼스 스터디 1: 기울이고 감고 펴고 몸_1) 퍼포먼스에서 접근성과 실험성 사이(박하늘 배우와 함께)

이미지
퍼포먼스 스터디 1:  기울이고 감고 펴고 몸 1) 퍼포먼스에서 접근성과 실험성 사이

박신영, 《더 플라이어블 플랜 the pliable plan[1]》 서문: 기념 혹은 기억

이미지
  박신영 , 《 더 플라이어블 플랜 the pliable plan[1] 》 서문 : 기념 혹은 기억 김민관   계획 혹은 투시도 ― “plan” 의 어원을 따르자면 ― 는 미래를 위한 현재의 투사와도 같다 . 곧 불투명한 것들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 명확한 언어는 현실을 유연하게 편집해야 한다 . 이는 실패한 미래를 유예하며 현재에 새로움을 더한다 . 구부러질 수 있는 시간은 역설적으로 단단하게 고정된다 . 물론 ‘ 계획 ’ 은 공개되지 않을 것이므로 또는 원래 없었으므로 사후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변론할 수 있다 . 곧 유연하게 계획은 편집될 수 있다 . 그렇다면 추적해야 하는 ( 반절 정도는 유연할 수밖에 없는 ) 계획은 어떻게 분별될 수 있을까 . 어떤 언어 혹은 이미지로써 이를 결박할 수 있을까 , 또는 비켜나갈 수 있을까 . 장소 , 장르 , 구상 , 구성 , 공간의 차원에서 이를 탐구해 본다면 …   하나 . 장소의 이미지 . 햇빛에 반짝이는 창 ― 투명한 장소 ― 가 함입하는 지팡이와 발걸음과 바퀴와 바람을 지나치며 다시금 반짝이는 어떤 사물 . 기억할 수 없는 , 기억으로서의 존재인 길고양이 등등 .   둘 . 장르에 대한 엉성한 고찰 . 도자는 장식일까 , 아니면 사물일까 . 어떤 극단적 물음 속에서 명확한 답변 대신 묘연하게 떠오르는 이미지 .   셋 . 구상에 대한 엉뚱한 가설 . 작가는 지나간 이미지를 붙드는가 , 아니면 도래할 이미지에 의존하는가 .   넷 . 구성에 대한 엉망진창의 발설 . 작업은 이미 검토된 물질을 재분별하는 일인가 , 아니면 없어질 사물을 애도하는 일인가 , 그것도 아니면 기념비적인 애칭을 만들어내는 일인가 .   다섯 . 공간에 대한 조금 더 정밀한 분석 . 평평한 긴장 . 평화로운 세계와 물질의 축복 사이에 놓인 공간에 머무르기 . 평이하고도 은근하고 조용한 어떤 장소에 대한 방문 , 그 방문을 유도하는 혹은 가능하게 하는 초청 , 역으로 그 초청을 완성하는 몸의

안민욱 개인전, 《당신에게 드립》(2022)

이미지
 ※안민욱 작가의 개인전 《당신에게 드립》이 처음의 순간에서 완성되었습니다. 역순으로 진행한 개인전은 포스터가 나오면서 전시 이전의 시간이 전시 이후의 시간과 교환되었습니다.  김보라 디자이너는 안민욱 작가와 김민관 운영자가 쓴 전시와 관련해 각자 작성한 글을 받고, 이를 서로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디자인했습니다.  (안민욱, 김민관의 편지가 각각 1~4, 5~8 이미지에 해당합니다. 첫 번째 이미지 1, 5는 편지봉투, 두 번째 이미지 2, 6은 편지, 3/4, 7/8은 편지의 확대된 버전입니다. 2, 6의 글자가 작다면 이를 참조해볼 수 있습니다.) 이 ‘편지’가 공개됨으로써 수신자는 다시 관객을 향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민욱 작가 개인전 《당신에게 드립》 일시: 2022.07.14.~2022.10.24.  장소: 응접실(인천광역시 중구 율목로30번길 1)   작가: 안민욱 공동 기획: 안민욱, 김민관 주관: 오픽 그래픽 디자인: 김보라  후원: 인천문화재단  안민욱 작가는 응접실 공간을 운영하는 김민관을 유일한 관객이자 참여자로 한 차례 커피 워크숍을 진행한다. 필요하다면 여러 번으로 회차를 늘려서 진행할 수도 있다. 작가는 근 몇 개월간 준비하던 카페 아르스페이스 운영을 위해 습득한 드립커피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며 미술 활동을 하며 미술 생태계에서 느낀 어떤 유사성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할 생각이다. 그리고 프로젝트가 끝나면 관련 도구는 응접실에 기증해 추후 사용하게 한다. 이는 작가의 또 다른 아이디어인, 또 다른 미래의 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After-noon T Type〉 프로젝트와 함께 공유될 예정이다.  《당신에게 드립》은 특정 기간 관람객 일반에게 노출되는 일반적인 전시의 형식적 틀을 벗어나 작가와 참여자 간의 합의와 약속에 따라 전시를 접고 닫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한 명의 관객과 작가 모두 전시의 중요한 매체가 되며, 그것들을 온전히 시각적으로 분별해 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된다. 그 바깥을 보는 것 역시 큰 의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