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정재희, 조경재, 황민규, 《민관의 은: 접시》 전시 전경+리뷰

이미지
“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재희는 응접실이라는 단어에서 발음으로 유인한 ‘ 은접시 ’ 를 떠올렸고 , 오후 12 시에서 3 시경 전면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과 반짝이는 것들로부터 작업의 형상을 구체화한다 . 조경재는 공간 운영자이자 편집장으로 오랜 시간 활동한 김민관 그리고 그의 개인사를 떠올리며 , 상징적 인물로서 모티브 삼는다 . 이에 김민관은 ‘ 민관 컬렉션 ’ 과 자신의 사진을 레퍼런스로 제공하며 사적 영역을 공적 공간으로 가져온다 . 황민규는 전시 준비 과정 코로나로 인해 격리했지만 곧 완쾌하며 정재희와 조경재의 의견을 종합하고 정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 그는 돌과 관련된 민간 신앙을 상상하며 전래 동화 또는 신화처럼 번안한 공간 구성을 제안한다 .”( 한주옥, 서문  「 《민관의 은: 접시》와 응접실 」 )   거대한 조형물인  〈 민관의 은 :  접시 〉 는 인간의 신체 형상으로 보인다 .  바닥에 두 다리를 뻗고 있는 모습인 것이다 .  그 중앙에 은접시가 있고 ,  은접시 위에 연결된 수로로 물이 떨어져 두 다리로 새어 나간다 .  은접시는 공간  ‘ 응접실 ’ 의 언어 유희적 전략이다 .  언어는 투명한 재료로 연장되고 불투명한 기의로 퍼져나간다 .  마치 명확하게 은접시를 향해 떨어지는 물이 맺히는 물방울들의 흔적처럼 . 하나의 거대한 조형물 〈 민관의 은 : 접시 〉 가 놓인 전시 《 민관의 은 : 접시 》 인 만큼 , 하나의 작품은 이미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정재희 , 조경재 , 황민규 세 작가는 일시적인 콜렉티브로서 활동하며 《 민관의 은 : 접시 》 까지 세 번의 전시를 진행해 왔다 .   이번 전시의 경우 , 세 면의 창이 있는 공간 구조를 활용해 뒤틀린 신체가 세 면과 그 거리에 따라 작품의 관점을 변경하며 작품에 맞추어 나갈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현상학적 체험은 그렇게 시각적 반경 속에서 구성된다 . 특히 , 은접시를 향한 조명의 집중포화와 함께 저녁까지 전시를 구성해 현대미

문수주의 〈은 은〉 사진 기록

이미지
 문수주의 〈은 은〉   은은하게 퍼져 나가는 공간을 머금는 어떤 감각을 생각해 본다.  〈은 은〉은 정재희, 조경재, 황민규 작가의  《민관의 은: 접시》展*의 공간을 전유해서 전시 자체를 하나의 장소로 치환해 여기에 반응하고 착상하는 몸짓이다.  뒤틀린 비정형의 수로 위에 놓인 은접시에 떨어지는 물방울을 담는 전시를 확장하고 교란하는 어떤 움직임의 주권을 이야기하고자 했다.    일시: 3월 26일(토) 오후 7시 장소: 응접실(인천 중구 율목로30번길 1, 1층) 안무/퍼포머: 문수주(문지연) 기획: 김민관  주최/주최/주관: 오픽 후원: 인천문화재단 문수주(문지연)   쾰른국립예술대학을 수료하고,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을 졸업. 독일에서는 하노버시립무용단 무용수로 활동하며 다 수작품 참여, 독일 Lionhead’s 미디어와 영화 jim knopf film 프로젝트 등 활동, 한국에서는 ‘시나브로가슴에’ 단원으로 활동했으며 안무작으로는 〈groggy〉가 있다. *《민관의 은: 접시》(2022.3.13-3.27, 응접실)

장회숙, 〈동인천 근대문화유산 답사〉 리뷰

이미지
   지난 24 일 열린 장회숙 도시자원디자인연구소 대표의 〈 동인천 근대문화유산 답사 〉 는 동인천 근방의 근대문화유산을 답사하는 시간으로 진행됐습니다 . 일제강점기에 쌓은 축대의 흔적을 따라 간 이번 여정은 그야말로 숨어 있는 역사의 살결을 추적하는 ( 존재를 좇는 )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 또한 동인천을 역사 - 지리적인 상상력으로 복원하는 시간이었습니다 .   역사의 지표는 기록과 기억의 역할을 무력화하는 현재에 밀려 사라지거나 찾기 힘든 흔적으로 흩어지기도 합니다 . 장회숙 선생님은 역사를 장소로 연장하는 역할을 하는 분이라 생각됩니다 . 이런 흔적을 찾고 복기하며 구성하기 위해 사람들과 하루에 아홉 시간을 연속으로 걷기 세미나를 진행하기도 한다고 한다는 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중간에 들른 인천내동교회는 우연하게도 투어의 하이라이트 시간이 되었는데 , 벽면의 십자 무늬로 빛을 낸 건물의 무늬에 감탄하던 차 , 교회 관계자분의 안내로 실내로 들러 조금 더 설명을 자세하게 들을 수 있는 시간이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 최초의 현대식 병원이 있던 자리로 , 고국에 돌아가지 못한 채 한국에서 영면한 미국에서 온 의료 선교사 랜디스 박사의 숭고한 희생 역시 들을 수 있었습니다 . 약대인 ( 藥大人 , 서양 의사 ) 으로 불리는 등 우리나라 사람들의 지지와 애정을 받는 분이기도 했는데 , 환자를 치료하다 애석하게도 33 세의 젊은 나이에 장티푸스에 걸려 세상을 떠난 것입니다 . 중간에 여러 이야기가 더해지며 응접실까지는 오지 못하고 , 인천세관역사관에서 헤어졌습니다 . 다음 기회에 신흥동의 역사를 조금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회숙 , 〈 동인천 근대문화유산 답사 〉   일시 : 2022.03.24( 목 ) 오후 14:30(2 시간 + α ) 장소 : 동인천 학생문화회관 → 응접실   도시자원디자인연구소 대표인 장회숙 선생의 안내로 , 동인천 근방의 근대문화유산을 답사한다 . 홍예문이나 자유공원로 , 답동성당 등의 대표적인 동인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