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희, 조경재, 황민규, 《민관의 은: 접시》 전시 전경+리뷰
“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재희는 응접실이라는 단어에서 발음으로 유인한 ‘ 은접시 ’ 를 떠올렸고 , 오후 12 시에서 3 시경 전면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과 반짝이는 것들로부터 작업의 형상을 구체화한다 . 조경재는 공간 운영자이자 편집장으로 오랜 시간 활동한 김민관 그리고 그의 개인사를 떠올리며 , 상징적 인물로서 모티브 삼는다 . 이에 김민관은 ‘ 민관 컬렉션 ’ 과 자신의 사진을 레퍼런스로 제공하며 사적 영역을 공적 공간으로 가져온다 . 황민규는 전시 준비 과정 코로나로 인해 격리했지만 곧 완쾌하며 정재희와 조경재의 의견을 종합하고 정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 그는 돌과 관련된 민간 신앙을 상상하며 전래 동화 또는 신화처럼 번안한 공간 구성을 제안한다 .”( 한주옥, 서문 「 《민관의 은: 접시》와 응접실 」 ) 거대한 조형물인 〈 민관의 은 : 접시 〉 는 인간의 신체 형상으로 보인다 . 바닥에 두 다리를 뻗고 있는 모습인 것이다 . 그 중앙에 은접시가 있고 , 은접시 위에 연결된 수로로 물이 떨어져 두 다리로 새어 나간다 . 은접시는 공간 ‘ 응접실 ’ 의 언어 유희적 전략이다 . 언어는 투명한 재료로 연장되고 불투명한 기의로 퍼져나간다 . 마치 명확하게 은접시를 향해 떨어지는 물이 맺히는 물방울들의 흔적처럼 . 하나의 거대한 조형물 〈 민관의 은 : 접시 〉 가 놓인 전시 《 민관의 은 : 접시 》 인 만큼 , 하나의 작품은 이미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정재희 , 조경재 , 황민규 세 작가는 일시적인 콜렉티브로서 활동하며 《 민관의 은 : 접시 》 까지 세 번의 전시를 진행해 왔다 . 이번 전시의 경우 , 세 면의 창이 있는 공간 구조를 활용해 뒤틀린 신체가 세 면과 그 거리에 따라 작품의 관점을 변경하며 작품에 맞추어 나갈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현상학적 체험은 그렇게 시각적 반경 속에서 구성된다 . 특히 , 은접시를 향한 조명의 집중포화와 함께 저녁까지 전시를 구성해 현대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