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정재희, 조경재, 황민규, 《민관의 은: 접시》 전시 전경+리뷰

이미지
“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재희는 응접실이라는 단어에서 발음으로 유인한 ‘ 은접시 ’ 를 떠올렸고 , 오후 12 시에서 3 시경 전면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과 반짝이는 것들로부터 작업의 형상을 구체화한다 . 조경재는 공간 운영자이자 편집장으로 오랜 시간 활동한 김민관 그리고 그의 개인사를 떠올리며 , 상징적 인물로서 모티브 삼는다 . 이에 김민관은 ‘ 민관 컬렉션 ’ 과 자신의 사진을 레퍼런스로 제공하며 사적 영역을 공적 공간으로 가져온다 . 황민규는 전시 준비 과정 코로나로 인해 격리했지만 곧 완쾌하며 정재희와 조경재의 의견을 종합하고 정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 그는 돌과 관련된 민간 신앙을 상상하며 전래 동화 또는 신화처럼 번안한 공간 구성을 제안한다 .”( 한주옥, 서문  「 《민관의 은: 접시》와 응접실 」 )   거대한 조형물인  〈 민관의 은 :  접시 〉 는 인간의 신체 형상으로 보인다 .  바닥에 두 다리를 뻗고 있는 모습인 것이다 .  그 중앙에 은접시가 있고 ,  은접시 위에 연결된 수로로 물이 떨어져 두 다리로 새어 나간다 .  은접시는 공간  ‘ 응접실 ’ 의 언어 유희적 전략이다 .  언어는 투명한 재료로 연장되고 불투명한 기의로 퍼져나간다 .  마치 명확하게 은접시를 향해 떨어지는 물이 맺히는 물방울들의 흔적처럼 . 하나의 거대한 조형물 〈 민관의 은 : 접시 〉 가 놓인 전시 《 민관의 은 : 접시 》 인 만큼 , 하나의 작품은 이미 공간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정재희 , 조경재 , 황민규 세 작가는 일시적인 콜렉티브로서 활동하며 《 민관의 은 : 접시 》 까지 세 번의 전시를 진행해 왔다 .   이번 전시의 경우 , 세 면의 창이 있는 공간 구조를 활용해 뒤틀린 신체가 세 면과 그 거리에 따라 작품의 관점을 변경하며 작품에 맞추어 나갈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현상학적 체험은 그렇게 시...

문수주의 〈은 은〉 사진 기록

이미지
 문수주의 〈은 은〉   은은하게 퍼져 나가는 공간을 머금는 어떤 감각을 생각해 본다.  〈은 은〉은 정재희, 조경재, 황민규 작가의  《민관의 은: 접시》展*의 공간을 전유해서 전시 자체를 하나의 장소로 치환해 여기에 반응하고 착상하는 몸짓이다.  뒤틀린 비정형의 수로 위에 놓인 은접시에 떨어지는 물방울을 담는 전시를 확장하고 교란하는 어떤 움직임의 주권을 이야기하고자 했다.    일시: 3월 26일(토) 오후 7시 장소: 응접실(인천 중구 율목로30번길 1, 1층) 안무/퍼포머: 문수주(문지연) 기획: 김민관  주최/주최/주관: 오픽 후원: 인천문화재단 문수주(문지연)   쾰른국립예술대학을 수료하고,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을 졸업. 독일에서는 하노버시립무용단 무용수로 활동하며 다 수작품 참여, 독일 Lionhead’s 미디어와 영화 jim knopf film 프로젝트 등 활동, 한국에서는 ‘시나브로가슴에’ 단원으로 활동했으며 안무작으로는 〈groggy〉가 있다. *《민관의 은: 접시》(2022.3.13-3.27, 응접실)

장회숙, 〈동인천 근대문화유산 답사〉 리뷰

이미지
   지난 24 일 열린 장회숙 도시자원디자인연구소 대표의 〈 동인천 근대문화유산 답사 〉 는 동인천 근방의 근대문화유산을 답사하는 시간으로 진행됐습니다 . 일제강점기에 쌓은 축대의 흔적을 따라 간 이번 여정은 그야말로 숨어 있는 역사의 살결을 추적하는 ( 존재를 좇는 )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 또한 동인천을 역사 - 지리적인 상상력으로 복원하는 시간이었습니다 .   역사의 지표는 기록과 기억의 역할을 무력화하는 현재에 밀려 사라지거나 찾기 힘든 흔적으로 흩어지기도 합니다 . 장회숙 선생님은 역사를 장소로 연장하는 역할을 하는 분이라 생각됩니다 . 이런 흔적을 찾고 복기하며 구성하기 위해 사람들과 하루에 아홉 시간을 연속으로 걷기 세미나를 진행하기도 한다고 한다는 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 중간에 들른 인천내동교회는 우연하게도 투어의 하이라이트 시간이 되었는데 , 벽면의 십자 무늬로 빛을 낸 건물의 무늬에 감탄하던 차 , 교회 관계자분의 안내로 실내로 들러 조금 더 설명을 자세하게 들을 수 있는 시간이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 최초의 현대식 병원이 있던 자리로 , 고국에 돌아가지 못한 채 한국에서 영면한 미국에서 온 의료 선교사 랜디스 박사의 숭고한 희생 역시 들을 수 있었습니다 . 약대인 ( 藥大人 , 서양 의사 ) 으로 불리는 등 우리나라 사람들의 지지와 애정을 받는 분이기도 했는데 , 환자를 치료하다 애석하게도 33 세의 젊은 나이에 장티푸스에 걸려 세상을 떠난 것입니다 . 중간에 여러 이야기가 더해지며 응접실까지는 오지 못하고 , 인천세관역사관에서 헤어졌습니다 . 다음 기회에 신흥동의 역사를 조금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장회숙 , 〈 동인천 근대문화유산 답사 〉   일시 : 2022.03.24( 목 ) 오후 14:30(2 시간 + α ) 장소 : 동인천 학생문화회관 → 응접실   도시자원디자인연구소 대표인 장회숙 선생의 안내로 , 동인천 근방의 근대문화유산을 답사한다 . 홍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