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무비평가라는 명칭에서 ‘ 안무 ’ 는 무용의 창작 방식으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 이는 무용을 비롯한 다른 장르에 대한 보기의 관점을 창안함을 선언적으로 드러낸다 . 강연은 크게 네 개의 신명을 다룬다 . 높새바람 신명 , 메나리조 신명 , 몽금포 신명 , 능마바람 신명이 그것이다 . 먼저 신경준의 ‘ 여지고 ’ 에서 “ 산은 물을 건너지 못하고 물은 산을 넘지 못한다 ” 를 대전제로 내세운다 . 곧 산과 강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시작해 , 바람과 신 / 무당의 관계 , 동물 되기 , 축의 시대 , 하이누웰레 신화 , 배의 문화 , 바리데기굿 등 다양한 이야기와 개념 , 참조 자료 등이 종횡무진한다 . 하이누웰레 신화 , 배의 문화 , 바리데기굿은 모두 연결되는 수평적 인식 구조 아래 있다 . 이는 수직적 문화인 말의 문화와 반대적 개념으로서 도식을 이룬다 . 이러한 도식은 결과적으로 삶에 대한 다른 감각 , 다른 세계로부터의 감각을 전해준다 . 곧 인식 구조가 문화에 따라 다른 것이라면 , 우리의 인식 구조 역시 고착되어 있음을 , 나아가 변경될 수 있음을 상정한다 . 하늬바람에서 “ 늬 ” 는 무늬를 뜻하는데 , “ 늬 ” 가 들어간 몇몇 단어들을 찾아보는 것도 흥미롭다 . 무늬는 무당 무 자와 늬의 만남이다 . 언어의 시원적 감각을 들여다보는 것 역시 김남수 강연의 특징이다 . 그러한 언어에는 힘이 실린다 . 크게 썰고 , 넓게 꿰는 3 시간에 육박하는 강연은 일종의 퍼포먼스에 가깝다 . 가령 미리 가져온 책을 나누거나 돌을 보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그렇다 . 이런 관법의 제시는 관념적인 것만이 아닌 것에 관심을 둔다기보다 , 어쩌면 물질적인 것에 관념적인 것이 현현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 김남수, 〈신명의 분류학 - 바람과 물 그리고 대간〉 편집 영상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YGu4YeKDcH8 김남수 , 〈 신명의 분류학 - 바람과 물 그리고 대